발달심리학 - 발달의 시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다공관련링크
본문
1. 인간발달의 시작
1) 수정과 세포분열 : 수정체(성세포, 체세포)의 세포분열에 의해 발달이 시작된다.
① 체세포 : 46개의 염색체로 구성되어 유사분열에 의해 증가하며 뼈, 근육, 소화기, 순환기, 신경계를 형성하게 한다.
② 성세포 : 감수분열에 의해 염색체 수를 반으로 줄여간다.
2) 성의 결정
난자와 정자가 갖는 23개의 염색체 중 22개는 구조와 기능이 유사한 상동체를 이루며 23번째 염색체는 성염색체이다. 난자의 염색체는 XX, 정자의 염색체는 XY로 수정시 XX가 만나면 여아로, XY가 만나면 남아로 성별을 결정짓는다.
3) 유전적 특성의 결정
① 46개의 염색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세포에는 약 1억 개의 유전인자(유전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본단위)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유전인자는 DNA(deoxyribonucleic acid 디옥시리보핵산)의 고리로 이루어지며, DNA 바깥쪽 긴 고리는 당과 인으로 이루어지며, 안쪽의 짧은 고리는 아데닌, 티민, 시토신, 구아닌의 네 종류의 상이한 질산염기로 구성되는데 여기에 유전적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② 세포가 신체 부위를 형성하는가는 RNA에 보내는 DNA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인자에 결함이 생기면 정상아와 다른 발달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③ 발달상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전인자를 대립유전자라고 한다. 양쪽 부모에게서 같은 대립유전자가 전수되면 동질접합, 다른 대립유전자가 전달되면 이질접합이 된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인자의 특징을 유전자형(genotype)이라고 하며, 겉으로 드러난 유전적 특징을 표현형(phenotype)이라 한다.
4) 염색체 결함
① 일반염색체 결함
- 다운증후군 : 염색체 배열에서 21번 염색체가 3개일 때 나타나는 장애로, 신체적·지적 장애를 동반하며 외모에서 장애의 징후가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산모의 연령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② 성염색체 결함
- 터너중후군 : 여성 성염색체 결함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체 몸집이 작고 손가락이 짧다. 사회성이 낮고 자기주장이 부족하며 이차성징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임신이 불가능하다.
- 세 개의 X염색체 증후군 : 인지발달장애가 나타난다.
- 클라인펠터증후군 : 남성 성염색체 결함으로 나타나며 XXY배열로 고환은 있으나 정자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불임이다. 유방이 발달하고 엉덩이가 둥근 여성적 특징으로 자아존중감이 낮다.
- XYY증후군 : 정신지체의 확률이 높으며 불안, 과잉활동 주의결함 비정상적 의사소통, 대인관계 결함 등의 심리적 장애가 수반되기도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